Success partner for your global takeoff,
The Global Network of Korea Eximbank.

확대축소보기

화면확대 : 키보드 ctrl 를 누른 상태로 + 키를 누르시면 확대됩니다. 화면축소: 키보드 ctrl를 누른 상태로 - 키를 누르시면 축소됩니다.

추천메일보내기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으셨나요?
지금 보고 계신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은 분께 추천해 보세요.
아래사항을 기입하신 후 이메일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 내용을 원하시는 분에게 메일로 보낼 수 있습니다.

@
@
한국수출입은행

국가별통합정보

국가별동향

[이슈보고서]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동향과 한국의 협력 방안

등록자 조영관() 등록일 2023.03.10 조회수 1538

Ⅰ. 우즈베키스탄의 정치·경제 동향

 

ㅇ 주요 정치·경제 이슈: 2022년에는 헌법 개정 추진과 이로 인한 카라칼팍스탄의 대규모 시위, 키르기즈와의 국경 획정 등의 주요 대내외 정치적 이슈가 있었으며, 경제 이슈로는 EU와의 EPCA 체결, 제1회 타슈켄트 국제투자포럼 개최 등이 있었음.

ㅇ 경제 현황: 우즈베키스탄은 2022년 글로벌 경기둔화 가운데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했음. 반면 높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고 있음.

 

Ⅱ. 우즈베키스탄의 중단기 발전전략과 주요 내용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22~2026 새로운 우즈베키스탄 발전전략”을 통해 7개 분야에서 발전을 추진하고 있음.

- 7대 중점 발전 분야는 시민사회, 사법, 경제, 사회, 종교, 대외문제, 대외정책에 관한 것으로 시민사회의 발전, 지역공동체인 마할라(Mahalla)의 활성화, 종교(이슬람)와 환경에 대한 중요성 강조, 실용적 대외관계에 대한 강조 등이 새로운 발전전략의 주요 특징인 것으로 평가됨.

ㅇ 또한 2023년 대통령 국정과제를 통해 작은 정부, 천연가스 생산 증대, 대중교통 개선, 재산권 보호 등을 강조하였음.

 

Ⅲ. 우즈베키스탄 주요 산업의 발전전략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디지털, 자동차, 신재생 분야에서 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디지털 2030 전략”을 통해 인터넷 인프라 개선, 전자정부 발전, 민간통신 사업자 육성을 추진함. 이러한 정책에 따라 ICT 기업의 수는 2016년의 6,370개에서 2022년에는 10,587개로 증가했으며, ICT 부문 인력도 2016년의 33,413명에서 2022년에는 53,782명으로 증가했음. 또한 Open Data Watch의 ‘국가별 공공데이터 개방도’ 순위가 2020년의 세계 44위에서 2022년에는 40위로 상승하는 성과를 거두었음. 

- “자동차 산업 2025 발전전략”을 통해 자동차 생산 및 수출 증대를 추진하고 있음. 또한 2030년까지 전기차 생산 비중을 전체 자동차 생산의 15%로 높이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23년 1월에는 중국 전기차 생산기업인 BYD와의 협력을 통한 전기차 생산 계획을 발표함.   

- “신재생 2019~2030 전략”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생산 증대, 에너지 인프라 현대화, 에너지 효율성 증대 등을 추진하고 있음. 2030년까지 전체 전력생산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5%로 증대하고, 가스화력 발전 비중을 50%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를 위해 UAE MASDAR 등과의 협력을 통해 나보이, 사마르칸트, 지작, 수르한드리야 등에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음. 

ㅇ 이처럼 우즈베키스탄의 산업별 발전전략에 따라 중국과 인도, UAE·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기업들이 디지털, 자동차, 신재생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Ⅳ. 한국의 협력 방안

 

ㅇ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라시아 지역의 안보 위협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의 역내 협력이 활발하며, 교역·투자·물류 등의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중국이나 같은 이슬람권인 중동 국가들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향후 중앙아시아 및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에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ㅇ 향후 우즈베키스탄은 WTO 가입, EU와의 협력 확대 등 대외개방 경제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은 기존의 정책 협력 성과를 토대로 우즈베키스탄의 국제사회 진출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ㅇ 이중내륙국으로 교통·물류 환경이 열악한 우즈베키스탄은 경제발전을 위해 국제물류의 활성화를 위해 국제 교통·물류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 부문에서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산업·자동차 산업,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의 부문에 높은 기술력을 가진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유망한 것으로 평가됨.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국가발전전략과 2023년 대통령 국정과제를 통해 교육·보건·환경 부문의 개선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부문에서의 협력이 매우 유망한 것으로 평가됨.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