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의 평가연혁
- 1977년 평가업무 도입 이후 국내 유일의 국가신용등급 평가기관으로서의 위상유지
-
-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개도국 채무불이행 사례가 국제적인 이슈로 대두되면서 거래 상대국의 채무상환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1977년 국내 금융기관으로서는 최초로 평가업무 도입
- 한국수출입은행은 국내 유일의 국가신용등급 평가기관으로서 세계 각국의 국가위험도를 평가해 국별 여신한도 관리, 여신지원 적격 대상국 심사 등에 사용
국가신용도 평가체계
- 평가대상국
우리나라와의 경제교류 관계, 당행 여신지원 규모 및 여신부서(지점포함)의 평가요청 등을 고려하여 선정
- 평가시기
정기평가 및 수시평가(여신부서 요청시,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동사항 발생시 등)
평가등급
- 9단계 국가신용도 분류
평가대상국에 대하여 위험수준에 따라 A(최상위), B1, B2, C1, C2, C3, D1, D2, E(최하위)의 9단계 신용도등급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