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partner for your global takeoff,
The Global Network of Korea Eximbank.

확대축소보기

화면확대 : 키보드 ctrl 를 누른 상태로 + 키를 누르시면 확대됩니다. 화면축소: 키보드 ctrl를 누른 상태로 - 키를 누르시면 축소됩니다.

추천메일보내기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으셨나요?
지금 보고 계신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은 분께 추천해 보세요.
아래사항을 기입하신 후 이메일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 내용을 원하시는 분에게 메일로 보낼 수 있습니다.

@
@
한국수출입은행

국가·지역동향

유럽·구소련 기타 / 유럽·구소련

[이슈보고서] 중앙아시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한국의 협력 방안

등록자 해외경제연구소 (조영관) 등록일 2024.04.03 조회수 165

Ⅰ. 중앙아시아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o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자원 수출국들은 에너지 생산 정체의 문제가 있으며, 에너지 자원 비수출국들은 지속적으로 자원을 수입하고 있으므로 각각 다른 에너지 안보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음.

o 글로벌 차원에서 탄소중립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화석 연료를 이용한 발전 비중이 높은 중앙아시아 국가들도 이에 동참할 필요성이 제기됨.

o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에너지 안보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제사회의 탄소중립에 동참하기 위해 에너지 생산 및 소비의 효율화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의 필요성이 대두됨.

- 중앙아시아 5개 국가들은 2016~17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파리 기후협정에 서명하고 각국 의회의 비준을 거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하며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음.

 

Ⅱ.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잠재력

 

o 중앙아시아 지역의 유망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태양광, 풍력, 지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음.

o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은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잠재력이 크며, 키르기즈와 타지키스탄은 수력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큼.

-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전반적으로 일조량이 많으므로 태양광발전에 유리하며, 풍력발전에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o 수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발전가능량은 키르기즈가 가장 많으며, 실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은 국가는 카자흐스탄으로 나타남.

 

Ⅲ. 카자흐스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책과 발전 현황

 

o 카자흐스탄은 2013년에 녹색경제로의 전환정책을 발표했으며, 2023년에 “2060 탄소중립 달성 전략”을 발표하였음.

o 카자흐스탄의 경우 총발전가능량은 태양광발전이 풍력발전보다 많으나, 실제 발전규모는 풍력발전이 태양광발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남.

o 2021년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부문별 발전 비중에서 수력발전이 73.2%, 풍력 발전이 13.9%, 태양광 발전이 12.9%를 기록하고 있음. 

o 프랑스 Total Eren, UAE Masdar, 사우디아라비아 ACWA 등 세계 주요 에너지 기업들과 카자흐스탄 에너지 기업들 간에 투자계약이 체결되어 풍력발전소와 태양광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음.

 

Ⅳ. 우즈베키스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책과 발전 현황

 

o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과 2022년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들을 발표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새로운 에너지 생산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정책을 추진 중임.

o 태양광 에너지 총발전가능량은 2017년 3MW에서 2022년 253MW로 급증한 반면, 풍력 에너지 총발전가능량은 1MW 규모에 불과함. 실제 발전규모에서도 태양광발전량이 풍력발전량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o 우즈베키스탄에서는 2026년까지 다수의 태양광발전소와 풍력발전소가 건설되어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8,000M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이러한 정부의 계획이 달성될 경우, 2030년 수력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전체 전력생산의 40.2%를 점유할 것으로 기대됨.

o 프랑스 Total Eren, UAE Masdar, 사우디아라비아 ACWA 등 세계 주요 에너지 기업들의 투자를 통해 나망간, 부하라, 호레즘 등에서 태양광발전소 및 풍력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음.

 

Ⅴ. 한국 기업의 협력 방안

 

o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필요한 품목의 수출이나 한국 기업의 투자를 추진할 수 있음.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제품 생산에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고려할 수 있음.

o 국제기구들이 주도하는 중앙아시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녹색금융 협력에 한국의 금융기관들이 참여할 수 있음.

o 중앙아시아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평가되며, 한국의 기업이나 관련 기관들이 중앙아시아 각국의 관련 분야 인력 양성 사업에 협력할 수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십시요.